아이돌봄서비스 완벽 가이드

바쁜 일상 속에서 아이를 믿고 맡길 수 있는 돌봄 서비스는 부모님들에게 큰 힘이 되죠. 오늘은 아이돌봄서비스 중에서도 많이 찾는 영아종일제·시간제·질병감염 아동지원·기관연계 서비스를 한눈에 비교하고, 신청 시 유용한 꿀팁까지 정리해드릴게요.


아이돌봄서비스 신청하기



1. 영아종일제 서비스 👶

대상: 생후 3개월 ~ 만 36개월 이하 영아
정부지원 시간: 월 80 ~ 200시간
이용요금: 시간당 12,180원

돌봄 내용

  • 이유식 먹이기, 기저귀 갈기, 목욕 등 영아 전반 돌봄

  • 아동 발달 및 건강 상태를 매일 부모님께 전달

  • 긴급 상황 시 병원 동행 가능 (비용은 부모 부담)

👉 맞벌이 부모님이나 장시간 영아 돌봄이 필요한 가정에 적합합니다.
👉 단, 가사활동은 포함되지 않아요.



2. 시간제 서비스 ⏰

대상: 생후 3개월 ~ 만 12세 이하 아동
정부지원 시간: 연 960시간
이용요금:

  • 기본형: 12,180원/시간

  • 종합형(가사 포함): 15,830원/시간

돌봄 내용

  • 등·하원 보조, 놀이, 간단한 식사 챙기기

  • (종합형 선택 시) 아동 세탁·식사 준비·청소 등 가사 지원 포함

👉 단기·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어, 초등학생 돌봄 공백에도 활용도가 높습니다.



3. 질병감염 아동지원 서비스 🏥

대상: 법정 감염병 및 유행성 질병에 감염된 만 12세 이하 아동
이용요금: 14,610원/시간 (정부지원 50% 적용 시 절반 부담 가능)

돌봄 내용

  • 아픈 아이의 간병 및 병원 동행

  • 질병 관련 특이사항 매일 전달

👉 어린이집/학교 등원 불가 시 부모님이 출근해야 하는 경우 정말 유용합니다.
👉 단, 입원 아동 병원 내 돌봄은 불가하니 참고하세요.



4. 기관연계 서비스 🏫

대상: 사회복지시설·학교·유치원·보육시설 등 만 0~12세 아동
이용요금: 시간당 18,600원
돌봄 아동수:

  • 0~2세: 최대 3명 (돌보미 1인)

  • 3~12세: 최대 5명 (돌보미 1인)

👉 기관 내에서 보조 교사처럼 아동 돌봄을 지원합니다.
👉 특히 한부모 가족복지시설, 공동육아나눔터 등에서도 활용 가능해요.



5. 요금 할인 & 지원 제도 💡

  • 다자녀 할인: 본인 부담금 10% 추가 지원 (중위소득 200% 이하, 마형 제외)

  • 청소년 부모 할인: 만 24세 이하 부모 + 만 1세 이하 자녀 → 90% 지원

  • 한부모·장애 부모·조손가정: 정부 지원금 5% 추가

👉 소득 기준 및 가구 형태에 따라 지원율이 다르니, **복지로(www.bokjiro.go.kr)**에서 재판정 신청 꼭 확인하세요.



6. 신청 방법 ✍️

  1. 국민행복카드 발급

  2. 아이돌봄서비스 홈페이지 접속 → 서비스 신청

  3. 서비스 제공 기관에 증빙서류 제출

  4. 매칭된 아이돌보미와 돌봄 시작

👉 긴급 상황(아이가 아픈데 바로 돌봄이 필요한 경우)에는 선 결제 후 서류 보완 방식으로 빠르게 이용할 수도 있어요.



✅ 마무리

아이돌봄서비스는 단순한 돌봄을 넘어, 부모의 양육 부담을 줄이고 아이의 안전을 지키는 사회적 안전망입니다.
우리 가정 상황에 맞는 서비스 유형을 잘 선택하면 경제적인 혜택까지 챙길 수 있답니다.

👉 혹시 지금 가장 관심 있는 서비스가 영아종일제일까요, 아니면 시간제 서비스도 함께 비교해보고 싶으신가요?

다음 이전